음악과 삶

평생 음악과 함께 한 난파 홍영후 선생의 음악과 삶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홍난파 선생의 생애

홍난파는 우리나라 최초의 바이올리니스트, 최초의 기악곡을 작곡한 작곡자, 최초의 음악평론가, 최초의 교항악단 지휘자이며 문필가이기도 한 난파의 업적은 짧은 생애에 비해 한국음악사에 위대한 서양음악의 선각자의 공이 더 지대하다고 본다.

홍난파는 1898년 4월10일(음력3월19일)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활초리에서 부친 홍준(洪埈)과 전주이씨 부인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영후(永厚), 호는 난파(蘭坡),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난파7세 때 서울에서 한학을 공부하였으며, 중앙기독교청년회(YMCA) 중학부 1학년때 이미 간단한 독보법을 스스로 해독하는 천부적인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중앙기독교청년회 중학부를 졸업한 난파는 이듬해인 1913년 9월, 당시 우리나라의 유일한 음악교육기관이었던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의 서양악부에 입학하여 김인식(金仁湜)선생으로부터 바이올린을 배웠으며, 그해 12월23일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성탄축하 연주회에 바이올린 연주로 호평을 받았다. 19세에 악전대요(樂典大要)를 출간하였으며, "통속 창가집" 초판과 "간이무답행진곡집"을 편찬하며 난파(蘭坡)라는 호를 쓰기 시작하며, 21세에 동경음악학교 음악학부에 입학하여 전문음악인으로의 학문을 쌓아갔다.

22세인 3.1운동 무렵, [삼광(三光))창간호를 출간하며  >창간사에 우리 조선은 깨는 때올시다. 무엇이던지 하려고 하는 때... > 라고하며 또한 난파는 "음악은 반드시 아름다운 것만을 표현하는 것만이 아닌 민족혼이 깃들여야한다"는 생각으로 휴학하고 귀국하여 3.1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그리고, 애지중지하던 바이올린을 팔아 독립운동에 바쳤으며 이듬해 다시 일본으로 가서 복학을 하려했으나 3.1운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학교측으로부터 거절당하자 다시 귀국하여 창작 단편집 "처녀혼(處女魂)"을 출간한다. 이 단편집 서두에 애수(哀愁)라는 곡명으로 멜로디를 기재하였는데 이를 본 김형준(金亨俊)이 가사를 붙인 것이 바로 유명한 가곡의 효시인 "봉선화" 이다. "봉선화"는 나라를 잃은 겨레의 설움과 한을 애절하게 표현한 곡으로 겨레의 소생을 간절히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었기에 빠른 시간에 전국으로 퍼져나가 며, 이에 일제는 "봉선화"를 금지곡으로 정하고 부르지 못하게 탄압을 가했다.

1922년 25세의 난파는 전문적인 음악연구기관인 연악회(硏樂會)를 창설하여 본격적인 음악활동을 하였으며 26세에 한국 최초로 오케스트라 반주를 붙인 합창곡을 편곡 지휘하였다. 1925년 국내 최초의 음악잡지인 "음악계"를 창간했으며, 우리나라 사람으로는 처음 바이올린 독주회를 열었다. 교향악 활동과 연구를 하면서, 1929년 '고향의 봄' 등이 수록된 창작동요(조선동요 100곡집) 상권을 간행하여 동요보급에 심혈을 기울였다. 1931년 미국 Chicago Sherwood 음악학교에 입학, [이때 미주 흥사단에 가입,단번 266번] 1933년 귀국 후 중앙보육학교, 경성보육학교 등에서 후진교육에 힘쓰며 "난파트리오"시연회를 개최한다. 1936년 경성중앙방송국 (JODK)양악부 책임자가 되자 곧 바로 경성학교 관현악단을 조직하여 우리나라 사람으론 처음으로 지휘자로 활약하였으며, 이듬해에는 성서(城西)트리오 3중주단을 조직하여 실내악 운동에 기여한다. 한편 신문과 잡지에 음악에 대한 교양, 보급에 힘을 기울였으며 처음으로 문학과 연계된 음악평론가로 수많은 새로운 음악의 장르를 개척하며 이화여전에서 지도자로 취임하기도 했다.

1937년과 38년 경성방송국에 근무하던 중, 난파는 흥사단(興士團) 단가를 작곡하였다는 이유로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종로 경찰서에 수감되어 심한 고문을 당하였다. 그후 사상전향서를 쓰게 되었으며 "희망의 아침  >군가 >" 을 강요에 의하여 작곡하게 되어 이것이 친일 시비에 관련되고 있다. 이때 받은 고문으로 머리를 다치게 되며 늑막염이 재발, 경성요양원 (현 위생병원)에 입원하였으나 해방의 서광을 보지 못한 채 1941년 8월 30일 44세를 일기로 세상을 마쳤다.

- 2006.4.9. 민족문제연구소와 경기도음협  >공동발간 >한 "새로 쓴 蘭坡 홍영후 연보" 발췌 참조